미국 식품 수출 이렇게 하라:개요 및 공장시설 등록(FFR:FOOD FACILITY REGISTRATION)

 

‘허용 성분’ 검토 최우선…통관 단계서 거부 사례 많아

■ 미국 식품 수출 개요 및 흐름도

미국의 식품 수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관세 부분이나 CBP 신고사항들은 논외로 한다. 아래의 흐름도의 경우 병행하거나 순서에 크게 상관은 없으나 보통 아래 단계부터 점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예를 들어 성분 검토를 안 한 뒤에 다른 사항들을 준비하였다가 미국에 수입이 안 되는 성분이 들어 있어 수출 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있으므로 아래의 단계가 필자의 경우에는 합리적이라고 본다.

■ 제조시설 및 수출자의 시설등록 (FFR: Food Facility Registration)

미국에 식품 통관을 위해서는 FFR 넘버가 필요하다. 보통 ‘FDA#’라고도 하고 ‘FDA 등록’라기도 하고 한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다양하다. FFR은 2001년에 미국에 테러 발생 이후에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을 제조하는 시설들을 FDA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제도이다.

한국의 경우에 어떤 수출업체의 경우에는 FDA인증이나 허가를 얻은 것처럼 광고를 하는데 이는 과대광고 또는 허위광고가 될 수도 있다. FDA의 경우에 공장에 대해서 허가를 내거나 인증을 직접 하지 않는다. 다만 VQIP (Voluntary Qualified Importer Program/ 수입자 적격 제도)가 생겨서 제삼자 인증기관을 통해 FSMA 규정 준수를 심사한 뒤에 이를 VQIP으로 승인해주는 경우가 생겼지만 이와는 별개의 항목이다. FFR등록은 무료이며, 인터넷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 FDA에 OAA (https://www.access.fda.gov/oaa/)에 접속하여 신청하면 된다. FFR 등록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영문으로 필요)는 △회사명 △회사주소 △회사대표이름 △담당자 이름 △회사 전화번호 △회사 Fax (옵션) △담당자 이메일 주소 △생산 품목 △미국 내 US Agent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Fax(옵션) 등이 필요하다.

신청은 본인 또는 US Agent가 할 수 있다. 먼저 OAA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먼저 한뒤에 ID를 받고, 비밀번호는 자기가 지정할 수 있다. 컨설팅 업체가 대신 해준 경우라도 FDA 규정상 ID와 비밀번호를 해당 업체와 공유하여야 한다.

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았으면 다시 접속하여 시설 등록을 하여야 한다. 들어가서 ‘Food Facility Registration’을 클릭한뒤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면 된다. 다 입력하고 제출하면, FDA에서는 US Agent에게 먼저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US Agent가 콘 펌을 하여야 FFR 번호가 부여된다. 보통 며칠에서 2주 정도 걸린다.

그리고, 2년에 한번씩 갱신을 해야 한다. 마침 올해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가 갱신기간이므로 놓치지 말고 갱신을 하여야 한다. FDA 온라인 ID와 비밀번호를 잘 관리해야 한다.

치자색 황색소 성분 불가… 건강식품은 원료 허가 확인을

우유 계란 생선 등 FDA 8대 알레르기 물질 표기해야

■ 성분 검토

미국 수출시 제일 중요한 단계이다. 미국 식품 통관 거부 사례 중에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이것 때문에 문제가 생겨서 통관이 거부되고 폐기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미국에 허가되지 않은 색소나 첨가제를 반드시 확인 하여야 한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 많이 쓰나 미국에 허가가 나지 않은 색소가 치자색 황색 소이다.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쓴다 해도 반드시 미국서 허가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본인이 판단할 지식의 한계나 정보의 한계가 있으면 전문 컨설팅 기관에 의뢰를 하는 것도 방법이다.

 

미국에 허가된 색소나 첨가제를 확인하려면 FDA 웹 사이트(https://www.fda.gov/forindustry/coloradditives/coloradditiveinventories/ucm115641.htm)에서 확인하거나 구글에서 ‘Approved color and additives FDA’로 검색하면 상단에 웹사이트가 검색이 된다. 두 가지의 경우로 검색이 된다. 색소나 첨가제가 위의 사이트에서 검색이 될 경우에는 확인이 바로 가능하다.

또 하나의 방법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검색을 하여야 한다.

 

(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fdcc/?set=GRASNotices). GRAS란 식품 첨가제로 쓰기에 적합한지 인정해 주는 제도로 FDA에 GRAS petition을 제출하거나 아니면 업체가 자체적으로 FDA에 등록하는 것처럼 역사적으로 쓰인 기록들이나 똑같은 과학적 독성 시험 결과 등의 데이터와 전문 패널 등의 의견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특히, 한국 식품원료의 경우에는 복합원료가 많기 때문에 2차, 3차, 4차, 5차까지 쓰는 경우가 있다. 미국의 클린 라벨의 추세 속에서 원료들을 간단히 쓰는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으로 라벨링 표기 시에도 적잖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복합 원료에 있는 첨가제라도 허용되는 첨가제 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

 

최근에 부분경화유의 사용이 금지 되었다. 부분 경화유 (Partially Hydrogenated Oil: PHO)의 경우에 원료에 들어가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PHO는 FDA GRAS 리스트에서 제외되었으며 2018년 6월 18일부터는 금지 항목이니 주의하여야 한다.

건강식품의 경우에는 성분 검토시에 성분이 건강식품의 원료로 사용허가가 났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미국 건강식품 규정인 DS cGMP에서는 1994년 10월 15일 이전에 미국에서 시판된 적이 있는 원료에 대해서는 사용 인정을 해주고 있으나 그 이후에는 NDI(New Dietary Ingredient) 신고를 하여 FDA 승인을 받아야 한다. 1994년 10월 15일 이전에 사용된 원료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선 미국서 사용되었다는 증거나 판매된 증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라벨링에 표기할 알러지 물질들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미국 FDA에서는 8가지 알러지 물질을 표기하도록 하였다.

FDA 8대 알러지 물질: 우유, 계란, 땅콩, 견과류, 생선, 갑각류, 콩, 밀

한국처럼 복합성분들을 많이 쓰고 있는데, 2차, 3차, 4차 성분에 알레르기 물질을 쓰고 있다면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에 한국산 육류 수출이 금지 (일부 삼계탕 제품 제외)되어 있어서 육류 제품이 들어간 경우는 수출이 안되고 소량의 경우, 즉 가공식품은 2% 이내, 가공 전제품은 3%까지 허용이 되나 USDA permit이 필요하다. 기타 우유와 계란이 들어간 성분도 USDA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3회 게재할 USDA부분에서 다루기로 한다.

라벨에 영양 정보·성분 목록 표시…제품명은 보통명사로

제조 시설 FDA 등록 후 ‘FFR 넘버’ 받아야 통관 가능

■ 라벨링

성분 검토가 끝나면 영양정보표시 (Nutrition Facts)와 성분 리스트 등의 정보를 기재하여야 한다. 필수 기재 사항으로는 제품명 (Statement of Identity), 영양정보 (Nutrition Facts), 성분 리스트 (Ingredient List), 중량표시 (Net weight), 알레르기 표기 (Allergen Declaration), 제조자 또는 유통자 정보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제품명은 보통명사로 기재해야 한다. 한국제품의 경우에 미국 수출 시에 브랜드명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많은 경우에 통관 시에 문제 되는 경우가 많다. FDA의 경우에 제품을 영어로 인지하기 때문에 아무리 한국서 알려진 제품을 브랜드명으로 제품 정보에 쓴다 해도 FDA에서는 알 수가 없다. 반드시 일반명을 써줘야 한다.

 

또한 원칙적으로 외국어로 제품전면에 표기하였을 때는 영어로 병기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미국에만 수출하는 것이 아니므로 국문으로만 전면 포장지에 쓰여 있으면 FDA에서 문제 될 소지가 많다. 스티커를 이용해서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명이라도 최대한 일반명으로 써주어서 이 제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량 표시는 ‘Net Wt’라고 표기하고 Oz와 괄호안에 g 수를 같이 쓴다 (예- 2 oz (57g)).

그다음은 영양정보 표시인데, 특별히 2020년 1월부터는 새로운 라벨 형식이 바뀌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연 매출액이 천만 불 이하인 업체(수출 포함 총 매출액 기준)는 1년 뒤인 2021년 1월부터 시행이다. 기존 영양정보표시와의 차이점은 칼로리와 서빙 사이즈 부분이 커졌다는 점, 인공적으로 첨가된 설탕 함량의 표기, 일부 미네랄 항목의 아이템 변경 (비타민 A, C가 빠지고 비타민 D, Potassium이 들어간 점)이 되었다.

첨가된 설탕 부분은 포뮬라 상에 들어간 설탕 함량을 찾아내서 계산을 해야 한다. 설탕이라 함은 일반 설탕, 콘시럽, 꿀, 메이플 시럽 등이 포함된다.

영양성분은 실험을 통해서 얻는 방법과 각 성분들의 영양정보를 제조사부터 얻어서 계산을 하는 방법이 있다. 보통 실험을 통해서 영양분석을 한 뒤에 포맷에 맡게 작성하면 된다.

서빙 사이즈는 FDA의 RACC (Reference amounts customarily consumed)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참조: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cdrh/cfdocs/cfcfr/CFRSearch.cfm?fr=101.12).

 

그 다음에 중요한 사항은 성분 리스트 표기 방법이다. 보통 내림차순으로 중량이 많이 들어간 성분들부터 표기를 하게 된다. 성분들은 보통명사로 쓰고 브랜드명을 쓰지 않는다. 또한 2차, 3차 등의 복합 성분들은 괄호를 이용하여 다 표기해주는 것이 원칙이다.

제일 중요하 것은 알러지 표기 방법이다. 최근에도 미국 내 한국식품 수입업체가 제품에 알레르기 표기를 하지 않아 리콜한 바 있으면 미국 리콜의 1/3이 알레르기 표기 미비로 인해 발생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차, 3차 성분의 미량의 알레르기 물질이 들어간다 해도 반드시 알레르기 표기를 하여야 한다.

가끔 교차오염의 위험을 우려해서 아래와 같은 경고문구를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고 옵션이다. 소비자에게 하나의 경고를 주는 것이나, 제조사는 여전히 알러지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의무를 다해야 한다. 기타 유통기한의 표기 및 주에 따라 재활용 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에 판매하는 경우에는 재활용 가능한 주를 표시해야 한다.

Warning: This product was processed in the facility where other allergens are processed.
[그림6] 알러지 교차오염 경고 문구의 예

■ 소결론

FDA등록은 수출을 위한 시작이다. FDA 온라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잃어버려 다시 찾으려면 절차가 쉽지 않다. 그리고 미국 수출을 한다고 여러 제품들이 미국에 들어오는데 기본적인 성분 검토도 안 하고 들어왔다가 통관 거절로 폐기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또한 라벨링 표기 오류나 알레르기 표기사항 실수로 리콜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기본적인 것들을 하나하나 점검하여야 문제가 없다. 미국에 식품안전화 현대화법에 FSVP(해외 공급자 검증제도)가 있는데, 미국에 수입자와 유기적으로 협력해서 수출할 제품에 대해 성분 검토, 라벨링 등의 검토 등을 같이 점검하는 것도 방법이다. 그간의 규정 무지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고 스마트한 수출 규정 준수가 습관화되어 있어야 한다.

[제이 리(Jay LEE) J&B Food Consulting 대표]

저작권자 © 식품음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식품음료신문(http://www.thinkfood.co.kr)

 


Food Facility Registration (FFR) - 미국 식품 시설 등록 

 

미국 식품 수출 이렇게 하라 ①:개요 및  미국 식품  시설 등록 

 

‘허용 성분’ 검토 최우선…통관 단계서 거부 사례 많아..

 
요즘은 한국의 지자체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적극적으로 미국에 식품 수출 판로를 개척하려 한다. 기존의 한인 슈퍼마켓 중심으로 수출하던 모델에서 점점 미국 주류 시장에 도전하는 추세이다. 
 
중요한 것은 여러 중소기업이 영업과 마케팅 중심의 판로에는 신경쓰지만 정작 중요한 미국 식품 규정 준수는 미흡하고 모든 분야를 정확히 커버할 수 있는 전문 컨설팅 업체도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1회 : 개요 및 공장시설등록 (FFR), 성분검토, 라벨링 준비하기
2회 : 저산성 식품 등록/수산물 HACCP/건강보조식품의 준비
3회 : 일반식품준비, 농산물 규정, USDA 허가사항, 수입자 준비사항
 
■ 미국 식품 수출 개요 및 흐름도
 
미국의 식품 수출 과정은 오른쪽 도표와 같다. 관세 부분이나 CBP 신고 사항은 논외로 한다. 흐름도의 경우 병행하거나 순서에 크게 상관은 없으나 보통 아래 단계부터 점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예를 들어 성분 검토를 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항을 준비했다가 미국에서 허용이 안 되는 성분이 들어 있어 수출 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있으므로 ‘아래단계로부터의 점검’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 제조시설 및 수출자의 시설등록 (FFR: Food Facility Registration)
 
 
미국으로 반입된 수입 식품이 통관되기 위해서는 ‘FFR 넘버’가 필요하다. ‘FDA#’ ‘FDA 등록’ 등 한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다양하다. ‘FFR’은 2001년 테러 이후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 공급 시설을 FDA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제도이다.
 
한국의 한 수출업체는 FDA 인증이나 허가를 얻은 것처럼 광고하는데 이는 과대 광고 또는 허위 광고가 될 수 있다. FDA는 공장에 대해 허가를 내주거나 인증을 직접 하지 않는다. 

 

다만, VQIP(Voluntary Qualifie d Importer Program·수입자 적격 제도)가 생겨서 제3자 인증기관을 통해 FSMA 규정 준수를 심사한 뒤 VQIP로 승인하는 사례가 있지만 이와는 별개의 항목이다. FFR 등록은 무료이며 인터넷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FDA의 OAA (https://www.access.fda.gov/oaa/)에 접속해 신청하면 된다. 
FFR 등록에 필요한 정보(영문 필요)로는 △회사명 △회사 주소 △회사 대표 이름 △담당자 이름 △회사 전화번호 △회사 팩스(옵션) △담당자 이메일 주소 △생산 품목 △미국 내 에이전트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옵션) 등이 있다.
 
 
 
신청은 본인 또는 미국 내 에이전트가 할 수 있다. 먼저 OAA에 들어가 회원 가입을 한 뒤 ID를 받고 비밀번호를 정한다. 컨설팅 업체가 대신한 경우라도 FDA 규정상 ID와 비밀번호를 해당 업체와 공유해야 한다. 

 

FDA 온라인 ID와 비밀번호는 잘 관리해야 한다. ID와 비밀번호를 받았으면 다시 접속해 시설 등록을 한다. ‘Food Facility Registration’을 클릭한 후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필요 사항을 입력해 제출하면 FDA에서는 미국 내 에이전트에게 먼저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미국 내 에이전트가 추인하면 FFR 번호가 부여된다. 

보통 며칠에서 2주 정도 걸린다. 그리고 2년에 한 번씩 갱신을 해야 한다.
 
치자색 황색소 성분 불가…건강식품은 원료 허가 확인을
우유 계란 생선 등 FDA 8대 알레르기 물질 표기해야
 
■ 성분 검토
 
미국에 식품 수출 시 제일 중요한 단계이다. 부적합 성분 때문에 통관이 거부되고 폐기되는 사례가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빈번하다. 특히 미국에서 허가되지 않은 색소나 첨가제는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많이 쓰이나 미국에서 허용되지 않는 게 치자색 황색소이다.
 
한국에서 널리 사용된다고 해도 반드시 미국에서 허가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본인의 지식이나 정보에 한계가 있으면 전문 컨설팅 기관에 의뢰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미국에서 허가된 색소나 첨가제를 알아보려면 FDA 웹 사이트(https://www.fda.gov/forindustry/coloradditives/coloradditiveinventories/ucm115641.htm)에서 확인하거나 구글 ‘Approved color and additives FDA’에서 검색하면 상단에 사이트가 뜬다. 이 두 가지 경로로 검색할 수 있다. 색소나 첨가제가 위의 사이트에서 검색이 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 하나는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https://www.access data.fda.gov/scripts/fdcc/?set=GRASNotices). ‘GRAS’란 식품 첨가제로 적합하다고 인정해 주는 제도로 FDA에 GRAS 청원서(petition)를 제출하거나 아니면 업체가 자체적으로 FDA에 등록하는 것처럼 역사적으로 쓰인 기록이나 과학적 독성 시험 결과 등의 자료, 전문 패널 등의 의견서를 갖고 있어야 한다.
 
특히 한국산 식품 원료에는 복합 원료가 많기 때문에 2차, 3차, 4차, 5차까지 쓰기도 한다. 미국이 ‘클린 라벨’ 추세에 맞춰 원료를 간단히 쓰는 것과는 대조적 양상으로 라벨링 표기에도 적잖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복합 원료에 들어 있는 첨가제도 허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부분경화유(Partially Hydrogenated Oil·PHO) 사용이 금지됐다. 부분경화유가 원료에 포함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PHO는 FDA GRAS 명단에서 제외돼 2018년 6월 18일부터 금지 항목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건강식품은 함유 성분이 건강식품의 원료로 사용 허가가 났는지 확인해야 한다. 미국 건강식품 규정인 DS cGMP는 1994년 10월 15일 이전에 미국에서 시판된 적이 있는 원료에 대해서는 사용 인정을 하지만 그 이후에는 NDI(New Dietary Ingredient) 신고를 통해 FD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994년 10월 15일 이전에 사용된 원료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 사용됐다는 증거나 판매 증거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라벨링에 표기할 알레르기 물질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FDA는 8가지 알레르기 물질 표기를 규정하고 있다. 
 
라벨에 영양 정보·성분 목록 표시…제품명은 보통명사로
제조 시설 FDA 등록 후 ‘FFR 넘버’ 받아야 통관 가능
 
■ 라벨링

 

 

 
성분 검토가 끝나면 영양 정보 표시(Nutrition Facts)와 성분 목록 등의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필수 사항으로는 제품명(Statement of Identity), 영양 정보 (Nutrition Facts), 성분목록(Ingredient List), 중량 표시(Net Weight), 알레르기 표기(Allergen Declara tion), 제조자 또는 유통자 정보가 있다.
 
제품명은 보통명사로 기재해야 한다. 한국 제품은 미국 수출 시 브랜드명을 그대로 쓰기도 하는데 통관 때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FDA는 제품을 영어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아무리 한국에서 알려진 제품을 브랜드명으로 쓴다 해도 FDA에서는 알 수가 없다. 반드시 일반명을 써야 한다.
 
또한 원칙적으로 외국어로 제품 전면에 표기할 때는 영어로 병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미국에만 수출하는 것이 아니므로 한글로만 전면 포장지에 쓰면 FDA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많다. 스티커를 붙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명이라도 최대한 일반명으로 써서 이 제품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중량 표시는 ‘Net Wt’라고 표기하고 Oz와 괄호 안에 g수를 같이 쓴다(예- 2 oz (57g)).
 
그 다음은 영양 정보 표시인데 특별히 2020년 1월부터는 라벨 형식이 바뀌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연매출이 1000만 달러 이하인 업체(수출 포함 총매출액 기준)는 1년 뒤인 2021년 1월부터 적용된다. 기존 영양 정보 표시와의 차이점은 칼로리와 제공량(serving size) 부분이 커졌다는 점, 인공적으로 첨가된 설탕 함량의 표기, 일부 미네랄 항목의 성분 변경(비타민 A, C가 빠지고 비타민 D, Potassium이 들어간 점)이 있다.
 
 
첨가된 설탕 부분은 조리법상 들어간 설탕 함량을 알아 계산해야 한다. 설탕에는 일반 설탕, 콘 시럽, 꿀, 메이플 시럽 등이 포함된다. 영양 성분은 실험을 통해 얻는 방법과 각 성분의 영양 정보를 제조사로부터 얻어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보통 실험을 통해서 영양 분석을 한 뒤에 틀에 맞게 작성하면 된다.

 

제공량은 FDA의 RACC(Refer ence amounts customarily consumed) 지침을 따라야 한다.

 
 
 
 
 
그 다음 중요한 사항은 성분 목록 표기이다. 보통 내림차순으로 중량이 많이 들어간 성분부터 표기하게 된다. 성분은 보통명사로 쓰고 브랜드명을 쓰지 않는다. 또한 2차, 3차 등의 복합 성분은 괄호를 이용해 전부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알레르기 표기이다. 최근에도 한국산 업체가 알레르기 표기를 하지 않아 리콜됐다. 미국 리콜 제품 3분의 1이 알레르기 표기 미비로 발생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차, 3차 성분 중에 알레르기 물질이 미량 들어가도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가끔 교차오염의 위험을 우려해서 아래와 같은 경고 문구를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고 선택이다. 소비자에게 하나의 경고를 하는 것이나 제조사는 여전히 알레르기 교차오염 방지를 위한 의무를 다해야 한다. 기타 유통기한의 표기 및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판매할 때는 재활용 가능한 주를 표시해야 한다.
 
Warning: This product was processed in the facility where other allergens are processed. [알러지 교차오염 경고 문구의 예]
 

 

FDA 등록은 수출을 위한 시작이다. FDA 온라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잃어버려 다시 찾으려면 절차가 쉽지 않다. 그리고 수많은 식품이 미국에 들어오는데 기본적인 성분 검토도 안 해 통관 거절로 폐기되는 것도 많이 보았다. 
 
라벨링 표기 오류나 알레르기 표기 실수로 리콜되는 게 다반사이다. 기본적인 것들을 하나하나 점검해야 문제가 없다. 
 
미국 식품안전현대화법에 FSVP(해외 공급자 검증 제도)가 있는데 미국의 수입자와 유기적으로 협력해 수출 제품의 성분, 라벨링 등을 같이 점검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규정 무지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고 스마트한 수출 규정 준수가 습관화돼야 할 것입니다.

 

Food Facility Registration (FFR) - 미국 식품 시설 등록 
[제이 리(Jay LEE) J&B Food Consulting 대표]

 





저작권자 © 식품음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식품음료신문(http://www.thinkfood.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