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 자체평가에 대한 신뢰성-제이 리(Jay Lee)의 미국 통신(80)

 

FDA, 해썹 심사 보고서로 수입식품 안전 검증
한국의 평가 방식에 의구심… 인정 안 하려 해
해외서도 통하게 미국 FSMA 수준으로 높여야

 

 

△이종찬 J&B Food Consulting 대표



한국에도 HACCP 인증이 보편화되고 있는 듯하다. 미국에 수출하는 식품들은 최소한 HACCP 인증을 받아야 미국의 수입자가 지켜야 할 FSVP(해외 공급자 검증제도)에 큰 문제없이 규정을 맞힐 수 있다.

FDA에서는 미국 내 수입자들을 점검해 해외에서 공급되는 제품이 안전한지 검증하고 있다. 검증 서류 중 하나가 HACCP의 심사보고서(Audit report)인데, 이는 객관적인 증거를 마련하기 위해 제조공장의 HACCP 계획과 선행요건을 제삼자가 심사토록 하는 것이다.

미국에선 HACCP 인증보다는 SQF, BRC 등이 보편적이므로 HACCP 인증은 드물지만 매년 모든 인증에 대한 갱신심사를 제3자가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 한국 제조공장들의 HACCP 심사보고서를 보면 일부 공장들은 자체 평가하는 경우가 있어 의아했다. 확인 결과, 일부 업체들은 2년은 자체평가를 하고 3년째에 인증원에서 심사한다는 것이다.

 

 

FDA에서는 자체평가를 한 심사보고서를 제출하면 객관성이 없어 쉽게 인정해 주지 않으려고 한다. 물론 SQF나 BRC에도 내부 심사(Internal Audit) 항목이 있어 주기적으로 자체평가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제삼자 심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로 내부 심사를 요청하는 사항이다. 식품안전시스템이 2중으로 잘 유지, 관리되도록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한국 뉴스를 보면 종종 HACCP 인증이 있는 업체들이 비위생적인 환경과 운영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 양심 없는 업체들은 일부겠지만 나머지 업체들은 자체평가를 통해 얼마나 양심적으로 HACCP을 운영할지는 알 수 없다. 미국처럼 Whistle Blower 제도가 한국에도 정착돼 양심적인 직원이 불법 및 비위생적 운영관리를 신고하여도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미국의 경우, HACCP 인증을 사설 인증업체에 하도록 하지 FDA나 USDA(미국 농무부)에서 하지 않는다. 한국은 정부 기관이 인증하기에 만약, HACCP 인증업체가 비위생적인 운영으로 적발이 되면 한국 정부 기관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증원 자체가 상위에서 인증시스템을 검증받을 수 있는 제도가 없다 보니 객관적인 심사 평가 및 개선이 어려울 수 있다.

미국의 사설 인증기관(Certifying body)은 상위 인정기관(Accreditation body)으로부터 심사관 및 심사 프로세스가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증받고 있다. 필자도 미국의 인정기관에서 기술 심사관(Technical Expert)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HACCP인증원도 이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제는 한국의 HACCP 인증이 해외에서도 통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GFSI(Global Food Safety Initiatives) 레벨들의 인증심사 제도(SQF, BRC, FSSC22000)를 벤치마킹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미국의 식품 안전화 현대화법(FSMA)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을 점차 HACCP 인증에도 적용하고 국제적 수준으로 올리면 좋겠다. 이제 한식은 전 세계에서 인기 있는 품목으로 성장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인프라인 HACCP 제도도 함께 세계화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Tag#HACCP#자체평가


저작권자 © 식품음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 대형 유통 매장에서 나온 죽은 쥐와 제품 리콜

 

식품·비식품 함께 보관 병충해·설치류 관리 소홀.
‘식품 방어’ 적용 대상… 창고·유통 단계에서 점검이 필요.

△이종찬 J&B Food Consulting 대표


최근에 미국의 한 체인형 대형 할인매장의 물류센터에서 1천 마리가 넘는 쥐가 죽은 채로 발견이 돼 400개가 넘는 점포가 일시적으로 폐쇄가 되고 보관하던 식품, 영양보충 용제품, 동물용 사료, 의료기기 등을 리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식품과 비식품을 한 창고에 보관을 하다 보니 특별하게 병충해·설치류에 대한 관리를 미흡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서 한국의 식품 유통·저장 시설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지 않나 생각이 든다.

FDA가 패밀리 달러의 한 물류센터에 대한 위생에 검사를 시행한 결과, 살아있는 쥐, 부패한 채 죽은 쥐 그리고 쥐의 배설물, 쥐가 갉아먹거나 둥지를 만든 흔적 등의 비위생적인 상황에서 보관이 된 제품들을 발견했다.

 

해당되는 창고에 보관된 제품 중에서는 비포장 제품도 있었다고 한다.

특히 FDA가 이 시설에 대해서 소독 훈증을 한 결과, 무려 1100마리가 넘는 쥐가 죽은 채로 발견이 되었고,

해당돠는 업체 기록을 검토한 결과 작년 3월 말∼9월 사이에 2300마리가 넘는 쥐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쥐에 오염이 되면 살모넬라나 다른 전염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식품 유통 창고에 대해서 식품 공장에 비해서 식품위생에 대한 단속이 매우 느슨하고 창고운영자들의 식품위생에 대한 인식이 낮아서 창고에 관한 식품 기준들을 준수하기가어려운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에는 FDA, 주 정부, 카운티 위생국 등이 식품 창고에 대한 검사를 통해서 기본적인 식품 저장에 관한

[식품위생 기준 준수] 여부를 단속하고 있다.

또한 GDP(Good Distribution Practice)라는 식품 인증이 있어서 미국의 대형 유통회사들은 SQF, BRC 등의 GDP 인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식품 창고에 필요한 위생 준수 사항으로 SQF, BRC, 건물·지면에 대한 관리, 종업원 위생, 쉬핑·리시빙(Shipping/Receiving), 온도관리 그리고 식품 방어 (Food Defense) 등 사항들이 적용이 된다.

 

미국 식품 창고의 경우에는 병충해·설치류 관리 서비스를 받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외부에서 병충해·설치류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틈새를 없애야 한다.

 

건물의 바닥, 벽, 천정은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냉장·냉동 시설의 바닥에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응고된 물이 냉동·냉장 팬에 떨어지면 안 된다.

가장 많이 보이는 지적사항 중에 하나가 18인치 룰(18” Rule)이다.

식품을 쌓은 팔레트를 벽에 붙여놓으면 안 되고, 병충해·설치류 관리를 위해서 18인치(약 45㎝) 정도는 벽에서 떨어트려

놓아야 한다.

 

그리고 바닥에 식품을 놓으면 안 되며, 항상 팔레트 위나 다른 받침대를 이용해서 떨어트려야 한다.

알러지 성분의 원재료 벌크 제품 같은 경우에 알레르기 교차오염이 생길 수가 있기 때문에 지정된 알레르기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특히 팔레트 랙(Pallet Rack)의 하단부에는 알레르기 원재료를 놓는 것이 교차오염을 줄일 수가 있다.

식품을 하차 및 상차할 때, 운송하는 차량의 내부청결을 점검하고, 제품의 병충해·설치류 오염된 흔적이 있는지도 살펴야 한다.

냉장·냉동식품의 경우에 온도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냉장·냉동 시설의 온도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운송 차량의 온도도 모니터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국처럼 식품 방어에 대한 계획 및 실행을 통해서 외부의 테러리스트나 내부 불만자의 의도적인 식품 오염을 막아야 하고, 창고 시설에 대한 보안 점검 및 방문자 관리도 실시를 해야 한다.

최근에 식품의 온라인 판매와 배송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서 대형 온라인 유통회사들이 식품들을 비식품들과 같이 보관하면서 위생적인 보관·유통에 대한 우려가 점차 나오고 있다.

 

식품 창고 및 유통단계에 대해서 관련 기관의 실태 조사와 함께 관련된 위생법 점검 및 보완을 해야 하지 않나 생각이 된다.

Tag#위생관리#식품창고#식품유통#식품 방어


저작권자 © 식품 음료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식품 음료 신문(http://www.thinkfood.co.kr)

미국 ‘내추럴 푸드 엑스포 웨스트’를 다녀와서-제이 리(Jay Lee)의 미국 통신

 

기능성 음료·발효 식품·친환경·케토 등 특징
대기업 외 중소기업도 미국 시장 공략 합류 분위기
식물기반 식품 다수… 한국산 클린 라벨 부문 미흡

 


△이종찬 J&B Food Consulting 대표


미국의 가장 규모 있는 식품전시회인 Natural Food Show Expo West(미국 내추럴 푸드 엑스포 웨스트)가 지난 3월 8일부터 12일까지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렸다. 

 

필자도 컨설팅 부스를 열고 참가해 많은 미국 및 전 세계 식품 업체들을 만났고, 한국기업들이 모여있는 한국관에서 한국 수출업체들을 상담하기도 했다.


2년 만에 열린 전시회라 세계 각지에서 많은 사람이 모였다. 미국에서는 마스크 의무 규제가 풀린 탓에 마스크를 쓰지 않고 전시장 곳곳을 둘러보는 참가자들을 보니 마치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간 듯한 분위기를 느꼈다. 

 

다만 한국에서 온 업체분들은 아직 마스크를 쓰고 있어서 아직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였다. 그렇지만 오랜만에 많은 사람이 한 곳에 모인 것을 보니 역시 사람은 직접 만나서 얼굴을 봐야 활력이 생기는 것 같다.

한국의 중소기업 중에는 농수산물유통공사에서 지원하는 한국관에 참가한 업체도 있지만, 별도로 자신들만의 부스에서 제품을 홍보하는 업체도 많았다.

 

한국의 대기업은 물론이고 이제는 중소기업들도 공격적으로 미국 및 전 세계 시장에 마케팅하는 분위기이다.

부스에는 한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 장류 외에도 콜라겐, 김, 차, 음료 등 다양한 제품들이 선보였다. 

 

최근 중소기업들이 미국 코스코(Costco)에 납품하는 경우를 종종 보면서 미국 수출이 이젠 대기업만의 드림이 아님을 느낀다.

미국 현지의 한인 회사들(수입사, 제조사, 스타트업 등)도 많이 참가했다. 기존에 한인 1세들은 한국 제품을 수입해 유통하는 데 그쳤다면, 이번 전시회에선 한인 2세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제품들을 선보였다. 

 

그중엔 한식을 미국식으로 퓨전화하거나 새로운 트렌드인 육류 대체식품 등 기발한 아이디어로 스타트업에 도전한 회사들이 많이 보였다. 

 

최근 한국의 식품 스타트업들도 자신들만의 독특한 아이디어로 제품을 개발해 아마존에서 성공하는 것을 자주 본다.

이번 전시회의 트렌드를 꼽으라면 식물기반식품(육류대체식품), 클린 라벨, 친환경 제품, 업사이클링 제품, 기능성 식품 및 음료, Keto, 발효식품 등이다.

 

 특히, 육류대체식품은 기존 햄버거 패티를 벗어나 치즈, 스낵류, 음료, 프로틴 바, 파스타, 피자 등 전 범위에 걸쳐 적용되었고 경쟁도 심해지는 것 같다.

 

 너무나 많은 육류대체 제품들로 인해 제품을 돋보이게 한다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 

 

한국제품의 경우 복합성분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단순하고 클린한 라벨이 추세인 미국 트렌드에는 아직 미흡한 한 것 같아 앞으로 풀어야 할 큰 숙제인 듯하다.

이 전시회는 헬씨푸드(Healthy food)가 주목적이라 한국제품들이 해당되지 않는 제품군도 많이 있다. 

 

그러나 미국 백인들이나 MZ세대의 경우, 건강과 지구 환경 등에 관심이 많은 계층이고 성장하는 시장이라 이 트렌드에 맞추어 제품을 개발해야 미국 주류시장에 어필할 수 있다. 

 

아직 한식이 미국의 메인스트림에서 대세로 자리 잡기는 더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래도 여러 타 인종 식품 중에서는 한식이 가장 인기 있고 알려진 음식이다. 

 

최근 한국 문화가 인기가 있어서 한국 문화와 음식에 관심이 많은데 이를 잘 이용해 큰 파도에 올라타는 것은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

Tag#내추럴 푸드 엑스포#식물기반#클린 라벨#퓨전 한식
저작권자 © 식품 음료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식품 음료 신문(http://www.thinkfood.co.kr)

 

미국 ‘내추럴 푸드 엑스포 웨스트’를 다녀와서-제이 리(Jay Lee)의 미국 통신(79) - 식품음료신문

미국의 가장 규모 있는 식품전시회인 ‘Natural Food Show Expo West’가 지난 3월 8일부터 12일까지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렸다. 필자도 컨설팅 부스를 열고 참가해 많은 미국 및 전 세계 식품 업

www.thinkfood.co.kr

 

 

 

 

 

  • 美 식품 사기 기승, "믿고 먹고파"

(서울=연합뉴스) 함보현 기자 = 미국 사회에서 '식품 사기(food fraud)'로 인해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일반 우유가 양젖으로 둔갑하고, 미시시피에서 흔히 잡히는 주걱 철갑상어가 고가의 철갑상어로 팔렸다.

일부 양봉업자는 벌꿀에 사탕무, 옥수수 시럽 성분을 섞은 것으로 알려졌다.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서 약 450㎏의 베트남산 냉동 메기를 농어의 일종인 그루퍼와 붉돔, 도다리 등으로 속여서

판매한 남성이 법의 심판을 받았다.

 

워싱턴포스트(WP) 인터넷판은 30일 식품 사기가 조미료, 식초, 과일주스, 올리브유, 포도주, 증류주 등 각종 음식물에서적발이 되고 있다고 식품의약국(FDA)이 이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WP는 특히 해산물 업계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지방의 슈퍼마켓부터 대형 업체까지 사기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당국이 이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미국의 꿀벌, 올리브유를 생산&유통 협회는 불순물이 섞인 제품을 가려낼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마련할 것을

FDA에 촉구하기도 했다.

 

식품 전문가인 존 스핑크 미시간주립대 교수는 미국에서 유통이 되는 식품 가운데에 5~7%,

혹은 그 이상이 식품사기와 관련이 되어 있다고 추산을 했다.

 

식품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일이 FDA의 몫이지만 오염을 막는 데만 전력을 기울이다 보니까 음식물 사기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

교역량이 증가하면서 FDA는 전체 수입 어류 중에서 단지 2%만 검사를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일반인이나 소규모 업체들이 이러한 사기를 눈치채기는 쉽지 않다. 심지어 하인즈나 크래프트, 갈로 등 유명한 식품업체도 이런 불량 원료들 가려내지 못하고 있다.

 

식품업계 경쟁이 치열해지고 불황까지 겹치면서 우리의 먹거리 사기는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hanarmdri@yna.co.kr

 

<컨설팅 문의>

+ Recent posts